다면 평가
평가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완벽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에 가깝다. 다만, 회사에 가장 적합한 평가 방식을 선정을 하고 확인되는 단점을 개선해 나가는 방법으로 활용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리더에 의한 일방적인 평가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다면 평가 방식이 있다. 다면 평가에서 팀원 평가를 한다면, 업무 수행의 과정 상에서의 장점과 개선점에 대해 리더, 동료 팀원, 타 팀원, 본인의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리더를 평가한다면 성과 결과에 대해서는 상위 임원이 할 수 있으며 리더십에 대해서는 동료 리더, 팀원, 본인의 평가가 진행될 수 있다. 이렇게 특정 항목에 대해서 다수의 평가를 받는 것이 다면 평가이다. 다면 평가라고 모든 항목에 대해서 다수에게 받지 않아도 되며 다면 평가를 진행할 항목을 지정하여 진행한다.
다면 평가의 순서
다면 평가를
위한 개괄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평가 진행을 위한 대상자 선정이다. 평가 항목을 확정하고 각 항목 별로 평가에 적합한 평가자 선정을 해야 한다. 이때 선정의 방법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팀 내에서도 업무 연관 정도를 고려하여 선정, 업무 프로세스 상 연관성이 높은 타 팀원, 평가자 본인의 추천 등을 통해서 정할 수 있다.
평가자를 정확히 선정하지 않는 경우, 결과를 받아들이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결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면 평가를 위한 평가자를 선발할 때 업무 연관성이 높은 사람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선정의 어려움 때문에 다면 평가가 어려워질 수 있다.
다음은 실제로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다. 우선 진행 단계와 각 단계 별 일정을 공유한다. 이때에는 최대한 상세하게 안내를 해주는 것이 진행에 도움이 된다. 인사 담당자들은 평가 프로세스와 방법들이 익숙할 것이다. 하지만 연 1회 평가를 하는 경우, 평가자, 피평가자는 일 년 만에 접하기 때문에 일정과 프로세스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단계로 평가 기준과 양식을 공유한다. 이 단계는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하면 훨씬 수월하다. 잘못 입력을 하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여 재 작성을 하게 할 수 있고 취합하는 과정도 단축되기 때문이다.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결과 자체에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평가를 정확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평가자 대상으로 단계별 진행할 사항에 대해 정확한 안내를 병행해야 한다. 이렇게 작성된 평가 결과를 최종적으로 취합을 하여 평가 진행 단계가 마무리된다.
다음은 평가 결과에 대한 확인과 정리의 단계이다. 특이사항은 없는지 확인하고 이슈 사항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개선 방안까지 논의해야 한다. 회사 전체, 팀이나 개인별 특징에 대해서 확인을 하고 이슈 사항에 대한 확인을 한다. 승진 대상을 선정하는 경우 올바른 대상자가 선정되었는지, 리더의 평가 결과에서 유독 높거나 낮은 평가를 받은 사람은 있는지 등 다양한 사항에 대해 전방위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 이런 사항들을 종합하여 자료의 형태로 남기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주로 보고서의 형태로 남기는 경우가 많다.
개인별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피드백을 해줘야 한다. 평가제도의 목적/취지부터 최종 항목별 결과, 개선 사항 및 향후 계획에 대해 공유하고 논의해야 한다. 단, 인원수가 적은 경우에는 해석의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인원이 적은 경우에는 작은 차이도 크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면 평가의 장단점
장점은 다양한 측면의 의견을 받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의견 전달이 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의견만을 받게 되지는 않는다. 어떤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있고 개선을 위한 의견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1명이 아니라 여러 명의 의견은 수용성도 향상될 수 있다. 반면, 단점은 평가자가 개인이 입력하는 내용이 피평가자에게 전달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하게 되고 이런 걱정이 평가 내용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는 업무상 연관이 있더라도 전반적인 평가를 하기에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도 있다. 이렇기 때문에 결과의 신뢰성에 신경을 써야 한다.
다면 평가는 직접적인 평가 결과로 활용할 수 있지만 보조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리더십, 역량 등에 대해 확인할 때 유용한 보조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HR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Basic 성과 관리 #11] 평가 운영을 위해 필수 교육 내용 (0) | 2024.07.12 |
---|---|
[HR Basic 성과 관리 #10] 평가 운영을 위한 평가 등급 정하기 (0) | 2024.06.11 |
[HR Basic 평가 #8] 상대 평가와 절대 평가 (0) | 2024.05.15 |
[HR Basic 평가 #7] 성과 평가, 역량 평가 프로세스 (0) | 2024.03.29 |
[HR Basic 평가 #6] 평가 프로세스 (0) | 2024.02.23 |
댓글